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1. 목표설정(SMART 기준)
Specific 구체적이어야 한다 |
-기대되는 목표달성의 결과가 구체적이고 명확해야 한다. -결과가 애매모호하거나 가볍고 일상적인 업무를 목표로 삼아서는 안된다. |
Measurable 측정가능해야 한다 |
-목표달성 정도를 정량적 또는 정성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정성적 지표를 선택했을 때는 평가자와 피평가자가 측정기준에 대해 이해하고 합의할 수 있어야 한다. -목표달성 정도를 최대한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표현한다. |
Action-oriented 활동지향적이어야 한다 |
-목표를 설정할 때 활동을 나타내는 명사 또는 동사를 사용한다. (ex. ‘증가’, ‘감소’, ‘완성’, ‘설계’ 등) -활동으로 표현된 목표는 목표달성을 위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달성여부를 측정하기도 용이하다. |
Realistic 현실적이어야 한다. |
-목표는 자신의 현재수준보다 높게 도전적으로 설정하되 자신의 노력에 의해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한다. -비현실적으로 높게 설정되거나 통제 불가능한 외부요인에 의해 목표달성도가 좌우되는 경우에는 동기부여가 어렵다. |
Time-based 기한이 있어야 한다 |
-언제까지 목표를 달성할 것인지 구체적인 기한을 설정한다. -과제가 일년을 초과하여 진행될 경우에는 해당 성과기간 동안 달성할 중간목표를 기준으로 기한을 정한다. |
해야 할 업무가 모두 포함되었는지, 본인 능력 및 전기 실적 대비 향상의 정도가 충실히 반영되었는지 여부
③ 가능성
본인 능력으로 달성 가능한지, 업무 배분은 적절한지 여부
[펌] 가슴이 원하는 일을 하라 (0) | 2007.10.11 |
---|
archidream's Blog is powered by D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