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목표설정(SMART 기준)

Specific

구체적이어야 한다

-기대되는 목표달성의 결과가 구체적이고 명확해야 한다.

-결과가 애매모호하거나 가볍고 일상적인 업무를 목표로 삼아서는 안된다.

Measurable

측정가능해야 한다

-목표달성 정도를 정량적 또는 정성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정성적 지표를 선택했을 때는 평가자와 피평가자가 측정기준에 대해 이해하고 합의할 수 있어야 한다.

-목표달성 정도를 최대한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표현한다.

Action-oriented

활동지향적이어야 한다

-목표를 설정할 때 활동을 나타내는 명사 또는 동사를 사용한다.

(ex. ‘증가’, ‘감소’, ‘완성’, ‘설계’ 등)

-활동으로 표현된 목표는 목표달성을 위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달성여부를 측정하기도 용이하다.

Realistic

현실적이어야 한다.

-목표는 자신의 현재수준보다 높게 도전적으로 설정하되 자신의 노력에 의해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한다.

-비현실적으로 높게 설정되거나 통제 불가능한 외부요인에 의해 목표달성도가 좌우되는 경우에는 동기부여가 어렵다.

Time-based

기한이 있어야 한다

-언제까지 목표를 달성할 것인지 구체적인 기한을 설정한다.

-과제가 일년을 초과하여 진행될 경우에는 해당 성과기간 동안 달성할 중간목표를 기준으로 기한을 정한다.



2. 목표의 확정
목표는 협의조정을 거쳐 최종 확정해야 하는데 협의 조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일관성
     부서 또는 조직전체의 목표와 일치하는 여부
② 충실성

     해야 할 업무가 모두 포함되었는지, 본인 능력 및 전기 실적 대비 향상의 정도가 충실히 반영되었는지 여부

③ 가능성
본인 능력으로 달성 가능한지, 업무 배분은 적절한지 여부

'[스크랩]앞서가는 소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가슴이 원하는 일을 하라  (0) 2007.10.11
      [스크랩]앞서가는 소수  |  2007. 5. 23. 18:56



archidream's Blog is powered by D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