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턴 유형 |
패턴명(한) |
패턴명(영)
|
유형 |
해석 |
하락 반전 |
유성형 |
"Shooting Star (CA_ShootingStar)" |
|
주가 상승국면중에 최고점에서 나타나며 시가가 갭을 이루며 상승 출발하였다가 긴 윗그림자를 형성하며 추가상승에 실패하며 되밀려서 시가부근에서 종가가 형성되며 짧은 몸통을 형성하는 패턴입니다. 역전된 망치형과 동일한 패턴으로 종가가 저가 부근이나 동일하게 형성되는 형태이며, 일반적으로 이 패턴 이후에는 추세가 하락반전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교수형 |
"Hanging Man (CA_HangingMan)" |
|
주가 상승국면중 최고점에서 나타나며 짧은 몸통과 긴 아랫그림자를 형성하며 추가 상승에 실패하여 이후 하락반전될 확률이 높은 패턴입니다. 망치형과 동일한 형태이지만 망치형과는 반대로 하락반전을 암시합니다. 몸통의 색깔과는 관계없이 윗그림자가 전혀 없을 수도 있지만 거의 없는 경우도 이 패턴으로 분류합니다. |
하락샅바형 |
"Bearish Belt Hold (CA_BrBeltHold)" |
|
주로 상승추세의 마지막 국면에서 나타나며 이후 강세전환 가능성이 매우 높은 패턴입니다. 시가가 당일의 고가이며 짧은 윗그림자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
하락 십자성형 |
"Bearish Doji Star (CA_BrDojiStar)" |
|
상승추세에 있던 주가가 당일에 매수와 매도가 거의 균형상태를 이루는 십자형이 형성되는 패턴으로 전일의 긴 양봉에이어 당일에 갭상승한 다음 시가 수준에서 종가가 형성되어 상승추세를 마감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 패턴이 나타난 후 주가의 흐름이 하락반전되지 않고 다음날 다시 상승하면 이전의 상승추세가 지속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확실한 반전이 있을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습니다. |
하락장악형 |
"Bearish Engulfing (CA_BrEngulfing)" |
|
상승추세에서 형성되는 패턴으로 전일 양의 몸통을 다음날의 긴 음의 몸통이 감싸 안는 형태로 이전까지의 상승추세를 하락으로 반전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은 패턴입니다. |
하락잉태형 |
"Harami in Uptrend (CA_HaramiUp)" |
|
상승잉태형의 반대패턴으로 짧은 음봉이 전일의 긴 양봉에 의해 감싸이는 패턴입니다. 주가의 상승추세가 진행된 이후 이 패턴이 나타나면 일반적으로 하락추세로 반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이 패턴이 출현한 이후 주가가 하락반전되지 않는다면 기존의 상승추세가 더욱 강화되어 나타날 가능성이 큽니다. |
하락십자 잉태형 |
"Harami Cross in Uptrend (CA_HaramiCrossUp)" |
|
짧은 음봉(또는 십자형)이 전일의 긴 양봉에 의해 감싸이는 패턴입니다. 주가의 상승추세가 진행된 이후 이 패턴이 나타나면 일반적으로 하락반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이 패턴이 출현한 이후 주가가 하락반전되지 않는다면 기존의 상승추세가 더욱 강화되어 나타날 가능성이 큽니다. |
흑운형 |
"Dark Cloud Cover (CA_DarkCloudCover)" |
|
상승추세에 있던 주가가 전일에 비해 매수강도가 떨어짐에 따라 전일의 양봉에 이어 시가는 전일의 고가를 상회하여 출발하지만 종가가 전일 몸통의 중간이하로 되밀려 음봉형태를 보이는 패턴으로 관통형과 반대의 형태와 의미가 있으며 이전까지의 상승추세를 하락으로 반전시킬 가능성이 높은 매우 중요한 패턴입니다. |
하락반격형 |
"Bearish Counterattack Line (CA_BrCounterAttack)" |
|
상반된 두개의 캔들로 이뤄진 패턴으로 종가가 전일의 종가와 거의 비슷한 수준에서 형성됩니다. 전일에 긴 양봉이 나오고 당일에 음봉이 나오면서 상승추세에서 하락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큽니다.흑운형과 비슷하지만 전일종가가 금일의 종가와 거의 비슷한 수준에서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추세전환 강도가 흑운형에 비해 다소 약한 경우가 많습니다. |
석별형 |
"Evening Star (CA_EveningStar)" |
|
상승추세에 있던 주가가 하락추세로 반전될 가능성이 높은 패턴으로 샛별형과 반대의 모양과 의미를 갖습니다. 즉 전일의 패턴이 이틀전과 당일의 패턴을 갭을 형성하며 상승하였다가 색깔과는 크게 관계없습니다. 하지만 이전의 상승추세는 전일 음의 몸통이 짧을수록 향후 하락의 강도는 강화될 것으로 예상할 수있습니다. |
십자석별형 |
"Evening Doji Star (CA_EveningDojiStar)" |
|
석별형의 변형 패턴으로 전일에 스타형이 아닌 십자형이 출현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즉 이틀전 길다란 양봉이 나타나고 전일의 캔들이 갭상승한 십자형이며 당일에 음봉이 나타나는데 전일의 십자모양이 이틀전과 당일의 몸통에 못미치는 형태입니다. 일반적으로 십자형은 스타형보다 더 강력한 영향력이 있기 때문에 석별형보다 더 강력한 하락추세로의 전환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하락기아형 |
"Abandoned Baby In Uptrend (CA_AvandonedBabyUp)" |
|
출현빈도는 매우 낮지만 다른 패턴보다도 추세전환 강도가 높은 특징이 있는 중요한 패턴으로서 전일 도지형 패턴이 이틀전과 당일의 몸통과 갭을 이루며 상승하였다가 당일에 추세가 반전되는 패턴입니다. 여기서 전일 출현한 도지는 이틀전과 당일의 가격범위를 벗어난채 갭을 형성합니다. |
하락잉태 확인형 |
"Three Inside Down (CA_3InsideDn)"
|
|
이전 두개의 캔들이 하락잉태형으로 나타나고 당일의 캔들이 약세전환을 확인시켜주는 패턴으로, 당일의 종가는 이틀전의 시가와 전일의 종가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하락세를 기록하며 마감되는 패턴입니다. 일단 이 패턴이 형성된 이후에는 이전까지의 상승추세를 마감하고 강한 하락추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
하락장악 확인형
|
"Three Outside Down (CA_3OutsideDn)"
|
|
이전 두개의 캔들이 하락장악형으로 나타나고 당일의 캔들이 약세전환을 확인시켜주는 패턴으로, 당일의 종가가 이틀전의 시가와 전일의 종가를 하회하는 수준에서 결정되어 상승추세가 마감되는 패턴입니다. 일단 이 패턴이 형성된 이후에는 이전까지의 상승추세를 마감하고 강력한 하락추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
하락 까마귀형 |
"Upside Gap Two Crows In Uptrend (CA_UpGap2CrowUp)" |
|
상승추세에 있던 주가가 이틀전과 전일, 그리고 당일에 각각 갭을 형성하며 상승하던 주가가 당일에 형성된 음봉이 나타나며 상승을 마무리하여 반락하는 형태를 보입니다. 여기서 당일에 발생한 음봉은 이틀전과 갭을 형성하고 동시에 이틀전의 가격범위에 포함되지 않으채 종가를 형성합니다.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매도세가 강화되어 주가상승에 부담으로 이어져 상당폭 하락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
트위저탑
|
"Tweezers Top (CA_TweezTop)" |
|
상승추세에 있던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캔들이 더 이상 고점을 갱신하지 못하면서 고가를 이전 캔들의 고가와 일치시키는 형태를 보이는 패턴입니다. 다른 패턴과 중복되어 출현할 가능성이 높으며 일반적으로 고점이 저항선의 역할을 하며 동일한 고점을 형성하는 캔들의 수가 많을수록 이후에 하락반전될 경우 하락추세가 더욱 강화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